The Hacker News 발췌문
ASD Warns of Ongoing BADCANDY Attacks Exploiting Cisco IOS XE Vulnerability (11-01)
- 호주 신호국(ASD)은 패치되지 않은 Cisco IOS XE 기기를 표적으로 삼아 BADCANDY라는 미등록 악성코드를 이용한 사이버 공격이 국내에서 계속되고 있다는 경고를 발표했습니다.
- 정보기관에 따르면, 이 공격은 CVE-2023-20198(CVSS 점수: 10.0)을 악용하는 것으로, 인증되지 않은 원격 공격자가 권한이 상승된 계정을 생성하여 취약한 시스템의 제어권을 탈취할 수 있도록 하는 심각한 취약점입니다.
- 이 보안 결함은 지난 2023년부터 활발하게 악용되어 왔으며, 솔트 타이푼과 같은 중국 연계 위협 세력은 최근 몇 달 동안 이 취약점을 무기화하여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를 침해했습니다.
- 뉴스보기
China-Linked Hackers Exploit Windows Shortcut Flaw to Target European Diplomats Campaign (2025-10-31)
- UNC6384로 알려진 중국계 위협 행위자가 2025년 9월부터 10월까지 패치되지 않은 윈도우 바로가기 취약점을 악용하여 유럽 외교 및 정부 기관을 표적으로 삼는 새로운 공격에 연루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.
- Arctic Wolf는 목요일에 발표한 기술 보고서에서 이 활동이 헝가리, 벨기에, 이탈리아, 네덜란드의 외교 기관과 세르비아 정부 기관을 표적으로 삼았다고 밝혔습니다.
- Arctic Wolf는 "공격 체인은 URL이 내장된 스피어피싱 이메일로 시작하며, 이는 유럽 위원회 회의, NATO 관련 워크숍, 다자간 외교 협력 행사 등을 주제로 한 악성 LNK 파일을 배포하는 여러 단계의 첫 단계입니다."라고 밝혔습니다.
- 뉴스보기
CISA and NSA Issue Urgent Guidance to Secure WSUS and Microsoft Exchange Servers (2025-10-31)
- 미국 사이버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(CISA)과 국가안보국(NSA)은 호주 및 캐나다의 국제 파트너들과 함께 온프레미스 Microsoft Exchange Server 인스턴스의 잠재적 악용을 방지하기 위한 지침을 발표했습니다.
- CISA는 "관리자 접근 제한, 다중 요소 인증 구현, 엄격한 전송 보안 구성 시행, 그리고 제로 트러스트(ZT) 보안 모델 원칙 채택을 통해 조직은 잠재적 사이버 공격에 대한 방어력을 크게 강화할 수 있다"고 밝혔습니다.
- CISA와 NSA는 Microsoft Exchange Server를 겨냥한 악의적인 활동이 계속되고 있으며, 보호되지 않거나 잘못 구성된 인스턴스가 공격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조직은 Microsoft 365로 전환한 후 수명이 종료된 온프레미스 또는 하이브리드 Exchange 서버를 폐기할 것을 권고합니다.
- 뉴스보기
KISA보안공지
기타 동향
“한국 정부 해킹 보고서 왜 냈나요?” 물으니...‘프랙’ 보고서 쓴 해커 인터뷰① (2025-10-27)
- ‘APT Down-The North Korea Files’ 저자 세이버(Saber) 인터뷰
- 보고서 발표 전 직접 한국 기관들에 이메일…“대응 필요성 알렸다”
- “해결책 찾기 위해 공개가 더 유용하다 판단”
- 뉴스보기
“한국 정부 해킹한 ‘KIM’은 중국 배후 정규직 근로자”...‘프랙’ 보고서 쓴 해커 인터뷰② (2025-10-28)
- ‘프랙 보고서’ 저자 세이버(Saber) 인터뷰
- ‘KIM’은 중국 정부 위해 일하는 근로자, 대만도 공격...북한 연계 정황도
- “윤리적 해커에 대한 좋은 대우가 범죄자 전환 막아”
- 뉴스보기
[기획특집] 2025년 대한민국 스마트도시 조성·확산 사업의 현황과 미래 전략 (2025-11-01)
- 국토교통부, AI·데이터 중심의 도시 혁신 추진...2025년 스마트도시 조성·확산 사업 본격화
- 전주·김천·김해·안산 등 지역 특화형 스마트도시 구축하며 민·관·학 협력 생태계 조성
- 정부, 데이터 표준화·보안 강화·리빙랩 실증 등 시민 중심의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모델 추진
- 뉴스보기